맨위로가기

파이어버드 (데이터베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이어버드는 2000년 Borland InterBase 6.0 소스 코드 공개 이후 시작된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다. C++로 포팅되어 2002년 첫 버전이 출시되었으며, 이후 64비트 지원, 정규 표현식 기능 등이 추가되었다. 파이어버드는 ACID 트랜잭션, 다중 세대 아키텍처(MGA)를 통한 고도화된 트랜잭션 관리, 저장 프로시저 및 트리거 지원을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운영 체제를 지원하며, 임베디드 버전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IBM 시스템 R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는 1992년 출시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테이블, 쿼리, 폼 등을 생성하고 VBA를 통해 솔루션을 개발하며, 윈도우에서 사용 가능하고 다양한 데이터 형식과 통합된다.
  • 자유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PostgreSQL
    PostgreSQL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분교의 Ingres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 개발자들의 협력을 통해 발전해온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RDBMS)이다.
  • 자유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SQLite
    SQLite는 D. 리처드 히프가 설계한 서버리스 구조의 임베디드 SQL 데이터베이스 엔진으로, 별도의 DBMS 없이 프로그램에 통합되어 작동하며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단일 파일로 저장하는 특징이 있고, 다양한 운영체제와 환경에서 널리 사용된다.
  • 데이터베이스 - 지식 베이스
    지식 베이스는 특정 주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며 규칙 기반 추론으로 새로운 지식 도출에 활용되고, 웹 콘텐츠 관리 및 지식 관리 시스템으로 확장되어 온톨로지를 이용,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하여 문제 해결책을 제시하고 경험을 통해 학습하는 시스템이다.
  • 데이터베이스 - 화이트리스트
    화이트리스트는 특정 대상만 허용하고 나머지는 차단하는 접근 제어 목록으로, 정보보안, 무역,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목록 선정 기준의 불명확성, 사회적 문제점 등의 위험성으로 투명하고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파이어버드 (데이터베이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종류RDBMS
개발자볼랜드, 파이어버드 재단
최초 출시일2000년
최신 버전5.0.0
최신 버전 출시일2024년 1월 11일
최신 평가판파이어버드 5.0 릴리스 후보 1
최신 평가판 출시일2023년 9월 26일
프로그래밍 언어C++, C
운영 체제크로스 플랫폼
플랫폼IA-32, x86-64
라이선스https://www.firebirdsql.org/en/interbase-public-license/, https://www.firebirdsql.org/en/initial-developer-s-public-license-version-1-0/
웹사이트https://www.firebirdsql.org/
터보버드 스크린샷
터보버드 스크린샷

2. 역사

파이어버드 프로젝트는 2000년 7월 25일 볼랜드가 InterBase 6.0의 소스 코드를 공개한 직후 소스포지에서 시작되었다.[3][4][5][6][43][44][45][46] 첫 안정 버전인 파이어버드 1.0은 2002년 3월 11일에 리눅스, 윈도우, macOS 등 다양한 운영체제용으로 출시되었다.[7][47]

2003년에는 모질라 재단이 당시 개발 중이던 웹 브라우저의 이름을 '파이어버드'로 정하면서 잠시 명칭 혼란이 있었으나, 2004년 모질라 측이 브라우저 이름을 모질라 파이어폭스로 변경하면서 해결되었다.[18][24][25][26]

이후 파이어버드는 꾸준히 새로운 버전을 출시하며 발전해왔다. 주요 버전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파이어버드 1.5 (2004년 2월): C++ 코드베이스 기반 첫 안정 버전. 쿼리 최적화, SQL-92 조건식, SQL:1999 savepoint, 명시적 잠금 지원.[9][49][10][50]
  • 파이어버드 2.0 (2006년 11월): 64비트 아키텍처 지원, FROM 절 내 중첩 테이블, 프로그래밍 가능한 잠금 시간 초과 기능 추가.[11][51][12][52] (버전 2.1에서 프로시저 트리거, 재귀 쿼리, SQL:2003 MERGE 문 지원 추가.[13][53])
  • 파이어버드 2.5 (2010년 10월): 멀티스레딩 개선, 정규 표현식 지원, 원격 데이터베이스 쿼리 기능 도입. 'SuperClassic' 서버 모델 추가로 SMP 확장성 강화.[14][54][55]
  • 파이어버드 3.0 (2016년 4월): 성능 및 보안 중점 재설계. SMP 지원 강화(SuperServer). 실행 파일 단일화, 윈도우 함수, 통계 함수 등 추가.[15][56][57]
  • 파이어버드 4.0 (2021년 6월): 메타데이터 식별자 길이 확장(최대 63자), 새로운 데이터 타입(DECFLOAT, INT128 등), 내장 암호화/해시 함수 추가.[58]
  • 파이어버드 5.0 (2024년 1월): 성능 및 멀티스레드 처리(백업, 복원, 스윕 포함) 향상. SQL 쿼리 프로파일링 개선, SQL 언어 기능 강화.[59]


한편, 2013년부터는 구글 코드의 여름 프로그램을 통해 파이어버드를 LibreOffice Base의 기본 데이터베이스 엔진인 HSQLDB 대신 통합하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16][17]

2. 1. 개발 배경

2000년 7월 25일 볼랜드가 InterBase 6.0의 소스 코드를 공개한 지 일주일도 채 되지 않아,[3][4] 소스포지에 파이어버드 프로젝트가 생성되었다.[5][6] 이 프로젝트는 공개된 인터베이스 6.0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시작되었다.

2. 2. 초기 버전 출시

2000년 7월 25일 볼랜드가 InterBase 6.0의 소스 코드를 공개한 지 일주일도 되지 않아,[3][4][43][44] 소스포지에 파이어버드(Firebird) 프로젝트가 등록되었다.[5][6][45][46]

파이어버드 1.0 버전은 2002년 3월 11일에 리눅스, 윈도우, macOS용으로 처음 출시되었다.[7][47] 이후 두 달 동안 솔라리스, FreeBSD 4, HP-UX 운영체제로도 이식되었다.[8][48]

2. 3. 모질라 파이어버드 명칭 분쟁

2003년 4월, 모질라 재단웹 브라우저 이름을 피닉스 테크놀로지스와의 상표권 문제로 기존의 '피닉스'에서 '파이어버드'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18]

이 결정은 기존의 파이어버드 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 사용자들과 인터넷 검색 엔진 등에서 데이터베이스와 웹 브라우저 모두 '파이어버드'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되어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19][20] 이에 모질라 개발자들은 자신들의 소프트웨어 패키지 이름은 '모질라 파이어버드'이며, 단순히 '파이어버드'가 아니라고 해명하는 성명을 발표했다.[21][22][23] 또한 이 성명에서 '모질라 파이어버드'는 프로젝트 코드명임을 밝혔다.

결국 이 명칭 분쟁은 2004년 2월 9일, 모질라가 브라우저 이름을 모질라 파이어폭스로 다시 변경하면서 해결되었다.[24][25][26]

2. 4. 파이어버드 1.5, 2.0, 2.5 출시

C언어로 작성된 코드베이스를 C++로 전환하는 작업은 2000년부터 시작되었다. 이 새로운 코드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첫 번째 안정 버전인 파이어버드 1.5는 2004년 2월 23일에 출시되었다.[9][49] 버전 1.5는 향상된 쿼리 최적화, SQL-92 표준의 조건식, SQL:1999 표준의 savepoint 기능 및 명시적인 잠금 지원을 특징으로 했다.[10][50]

2006년 11월 12일에는 파이어버드 2.0이 출시되었다.[11][51] 이 버전에서는 64비트 아키텍처 지원이 추가되었고, FROM 절에 테이블을 중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이 차단되었을 때 프로그래밍 가능한 잠금 시간 초과 기능이 도입되었다.[12][52]

2010년 10월 4일에는 파이어버드 2.5가 출시되었다.[54] 이 버전에서는 개선된 멀티스레딩 지원, 정규 표현식 구문 지원, 그리고 원격 데이터베이스를 쿼리하는 기능과 같은 새로운 기능들이 도입되었다.[14][55] 특히, 기존의 Super Server(스레드 모델)와 Classic Server(프로세스 모델) 외에 Super Classic이라는 새로운 서버 모델이 추가되어, 스레드별 캐시 버퍼를 구현함으로써 SMP 환경에서의 확장성을 강화했다.[55]

2. 5. 파이어버드 3.0, 4.0, 5.0 출시

2016년 4월 19일에 출시된 파이어버드 3.0은 성능과 보안 향상에 중점을 두었다.[15][56] 코드의 주요 재설계를 통해 SuperServer 버전을 사용할 때 SMP 시스템에 대한 완벽한 지원이 가능해졌으며,[15] 실행 파일도 단일화되었다 (기본값은 Super Server).[57] 이 외에도 윈도우 함수와 통계 함수가 지원되고, 각종 제한 완화, 데이터베이스별 구성, 스크롤 가능한 커서, 패키지 등이 추가되었다.[57]

2021년 6월 1일에는 파이어버드 4.0이 출시되었다.[58] 이 버전은 기존 아키텍처나 조작 방식을 크게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여러 개선 사항을 도입했다. 메타데이터 식별자 길이가 최대 63자로 확장되었고, 10진 부동 소수점 (DECFLOAT), NUMERIC 및 DECIMAL의 최대 정밀도를 38자리로 향상, INT128 (128비트 정수) 도입 등 새로운 데이터 형식이 추가되었다. 또한 암호화 및 암호 해시를 위한 내장 함수도 포함되었다.[58]

가장 최신 버전인 파이어버드 5.0은 2024년 1월 11일에 출시되었다.[59] 이 릴리스는 성능과 확장성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백업, 복원, 스윕을 포함한 멀티 스레드 처리 능력이 개선되었다. 또한 SQL 쿼리 프로파일링 기능이 개선되었고, SQL 언어의 다양한 기능이 강화되었다.[59]

3. 주요 특징

파이어버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으로서 다양한 고급 기능을 제공한다. 핵심적인 특징인 트랜잭션 관리(ACID 준수, 다중 세대 아키텍처[28])와 저장 프로시저트리거[27] 지원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이 외에도 파이어버드는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 참조 무결성 보장
  • 외부 함수(UDF) 지원
  • SQL 작업 시 클라이언트에 비동기 알림 이벤트를 보내는 기능 (초기 개발자 짐 스타키의 아이디어에서 비롯됨)
  • 빠른 복구를 가능하게 하는 '신중한 쓰기'(Careful Write) 방식 (별도 트랜잭션 로그 불필요)
  • 증분 백업 기능
  • PSQL에서 전체 커서 구현 지원


다양한 플랫폼과 프로그래밍 언어 환경에서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네이티브 API, dbExpress/FireDAC[29] 드라이버, ODBC, OLE DB, .NET 공급자, JDBC 네이티브 유형 4 드라이버, 파이썬 모듈,[30] PHP, Perl 등 폭넓은 연결 방법을 지원한다. PHP 등에서는 InterBase용 함수나 라이브러리를 활용할 수도 있다.

GUI 관리 도구나 복제 도구를 포함한 다양한 서드파티 도구 생태계가 존재하며, Firebird 4.0 버전부터는 내장 레플리케이션 기능이 구현되어 데이터 동기화 설정이 용이해졌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단일 OS 파일 형태로 생성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직접 내장하는 라이브러리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LibreOffice Base 4.2 버전 이후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대한민국 내에서는 2007년 오픈 소스 컨퍼런스의 공개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높은 성능 평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42], 관련 서적 출판이 적고 렌탈 서버에서의 지원이 미비하여 아직 인지도가 높지 않은 편이다. (과거 버전의 일부 제약 사항, 예를 들어 객체 명명 규칙이나 기본 키 자동 증가 미지원 등은 Firebird 3.0 및 4.0 업데이트를 통해 개선되었다.)

3. 1. 트랜잭션 관리

파이어버드는 ACID 원칙을 완벽하게 준수하는 트랜잭션 관리를 지원한다. 이는 InterBase로부터 계승한 다중 세대 아키텍처(Multi-Generational Architecture, MGA)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28] 다중 버전 동시성 제어(Multi-Version Concurrency Control, MVCC)라고도 불린다.

MGA/MVCC 방식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엔진이 각 트랜잭션에서 변경된 레코드의 여러 버전을 유지 관리한다.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어 커밋(commit)되면, 해당 트랜잭션에서 변경한 레코드의 마지막 버전이 최종 데이터로 확정된다. 반대로 트랜잭션이 중간에 취소되어 롤백(rollback)되면, 변경 사항은 적용되지 않고 이전 버전의 레코드가 그대로 유지된다.[31]

이러한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디스크 쓰기 감소: 트랜잭션 로그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식에 비해 디스크에 기록하는 작업량이 현저히 줄어든다.[32]
  • 높은 동시성: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시점 스냅샷(독립적인 버전)을 참조하므로, 읽기 작업과 쓰기 작업이 서로 간섭하거나 차단하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33] 이 덕분에 OLTP(Online Transaction Processing)와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작업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35] 이는 PostgreSQL이나 MySQLInnoDB 스토리지 엔진에서 사용하는 MVCC 방식과 유사하다.
  • 유지 관리 필요성: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오래된 레코드 버전들이 쌓이게 되는데, 이를 정리하고 디스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스위핑(sweeping)"이라는 유지 관리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34]

3. 2. 저장 프로시저 및 트리거

파이어버드는 저장 프로시저트리거를 완벽하게 지원한다.[27] 이는 UDF와 더불어 상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제공하는 중요한 기능으로,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복잡한 로직 처리나 자동화된 작업 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트리거 기능은 데이터 동기화(레플리케이션) 구현에도 응용될 수 있다. 과거에는 유료 솔루션인 "IBP 레플리케이터" 등을 사용하여 트리거 기반으로 데이터 변경 사항을 감지하고 다른 서버와 동기화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했다. Firebird 4.0 버전부터는 이러한 레플리케이션 기능이 내장되어 더욱 편리하게 데이터 동기화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3. 3. 기타 기능


  • 외부 함수(UDF)를 지원한다.[27]
  • SQL 작업 시 비동기 알림 이벤트를 클라이언트로 보낼 수 있다.
  • 다양한 접근 방법을 제공한다: 네이티브/API, dbExpress/FireDAC[29] 드라이버, ODBC, OLE DB, .NET 공급자, JDBC 네이티브 유형 4 드라이버, 파이썬 모듈,[30] PHP, Perl.
  • 증분 백업 기능을 지원한다.
  • PSQL에서 전체 커서 구현을 지원한다.
  • 저장 프로시저트리거를 완벽하게 지원한다.[27]
  • 완벽한 ACID 준수 트랜잭션과 참조 무결성을 보장한다.
  • 다중 세대 아키텍처(MVCC)를 지원한다.[28] 이는 PostgreSQL이나 MySQL (InnoDB)의 MVCC와 유사한 MGA(멀티 제너레이션 아키텍처)에 기반한 트랜잭션 관리 기능이다.
  • 신중한 쓰기(Careful Write) 방식을 사용하여 빠른 복구가 가능하며, 별도의 트랜잭션 로그가 필요 없다.
  • GUI 관리 도구 및 복제 도구를 포함한 다양한 서드파티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 PHP 등 애플리케이션에서 접속 시 InterBase 대응 함수 및 라이브러리를 활용할 수 있다.
  • Firebird 4.0부터 내장 레플리케이션(복제) 기능이 구현되었다. 이전 버전에서는 유료 솔루션 등을 통해 IP 네트워크로 연결된 여러 Firebird 간 동기화 처리가 가능했다. 이는 트리거 기능을 응용하여 변경된 내용을 다른 Firebird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 RDBMS 측에서 클라이언트에 대한 콜백을 실현하는 이벤트 알리미 기능은 초기 개발자인 짐 스타키의 아이디어에서 비롯되었다.
  • 일반적인 클라이언트-서버 환경 외에,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단일 OS 파일로 생성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내장하는 라이브러리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LibreOffice Base 4.2 버전 이후부터 내장된 파이어버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그 예이다.
  • 객체 명명 규칙이 과거에는 엄격했으나 Firebird 4.0에서 확장되었고, 기본 키 자동 증가(AUTO INCREMENT) 기능은 Firebird 3.0에서 도입되었다.
  • 2007년 오픈 소스 컨퍼런스의 공개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높은 성능 평가를 받았으나[42], 관련 서적 부족 및 렌탈 서버 지원 미비 등으로 국내 인지도는 아직 낮은 편이다.

4. 저장 및 인덱스 기술

파이어버드는 독특한 저장 및 인덱스 기술을 사용한다. 핵심 저장 방식은 인터베이스로부터 계승한 다중 세대 아키텍처(MGA, Multi-Generational Architecture)이다. 이는 데이터의 여러 버전을 관리하여 트랜잭션의 ACID 속성을 보장하고 높은 동시성을 제공한다.[31][33] 파이어버드의 인덱스는 클러스터형 인덱스처럼 효율적으로 작동하여 빠른 데이터 검색을 지원한다. 또한, 사용 환경에 따라 슈퍼서버(SuperServer), 슈퍼클래식(SuperClassic), 클래식(Classic), 임베디드(Embedded) 등 다양한 서버 아키텍처를 선택할 수 있다.

4. 1. 다중 세대 아키텍처 (MGA)

파이어버드는 인터베이스로부터 저장 아키텍처를 계승했으며, 이는 다중 세대 아키텍처(MGA, Multi-Generational Architecture)로 알려져 있다. 이 아키텍처는 트랜잭션의 ACID 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엔진이 각 레코드의 변경 사항을 여러 버전으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사용자가 데이터를 변경하면 새로운 버전이 생성되고, 기존 버전은 그대로 유지된다.

트랜잭션이 커밋되면, 변경된 레코드의 마지막 버전이 최종적인 유효 버전으로 표시된다. 반대로 트랜잭션이 롤백되면, 변경 사항은 무시되고 원래 레코드 버전이 그대로 유지된다.[31] 이러한 방식 덕분에 파이어버드는 일반적인 트랜잭션 로그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비해 디스크 쓰기 작업이 현저히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32]

MGA의 핵심적인 특징은 각 트랜잭션이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시점 스냅샷(자체 버전)을 본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데이터를 변경하는 쓰기 트랜잭션이 데이터를 읽는 읽기 트랜잭션을 방해하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33] 즉, 읽기 작업과 쓰기 작업 간의 잠금 경쟁이 최소화되어 동시성이 향상된다. 이는 OLTP 작업과 DSS/OLAP 작업을 동시에 실행할 때 다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금 메커니즘으로 인한 지연 없이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35]

하지만 이러한 아키텍처에는 상충 관계가 존재한다. 데이터베이스가 오래된 레코드 버전을 계속 유지하기 때문에, 디스크 공간을 확보하고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이러한 오래된 버전을 정리하는 유지 관리 작업("스위핑", sweeping)이 필요하다.[34]

파이어버드의 MGA는 PostgreSQL이나 MySQLInnoDB 스토리지 엔진에서 사용하는 MVCC(Multi-Version Concurrency Control)와 유사한 개념에 기반한 고도화된 트랜잭션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4. 2. 인덱스

파이어버드의 모든 인덱스는 다른 아키텍처에서 사용되는 잘 조정된 클러스터형 인덱스처럼 작동한다. 파이어버드 인덱스 버킷은 2단계 잠금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불 연산 "and" 및 "or" 연산은 중간 비트맵에서 무시할 수 있는 비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옵티마이저는 여러 대체 인덱스 중에서 선택할 필요가 없다.

4. 3. 슈퍼서버 (SuperServer)

파이어버드 슈퍼서버는 모든 클라이언트 연결에 대해 단일 데몬/서버를 사용하며, 공유 캐시를 사용하는 멀티 스레드 방식이다.

4. 4. 슈퍼클래식 (SuperClassic)

파이어버드 슈퍼클래식은 모든 클라이언트 연결에 대해 단일 데몬/서버를 사용하며, 개별 캐시를 사용하는 멀티 스레드 방식이다.

4. 5. 클래식 (Classic)

파이어버드 클래식 아키텍처는 inetd를 활용하여 각 클라이언트 연결마다 별도의 서버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SMP 시스템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하여 권장된다. 하지만, 방화벽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이벤트 알림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4. 6. 임베디드 (Embedded)

파이어버드 임베디드는 CD-ROM 카탈로그 생성, 단일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평가 버전에 사용된다.

5. 라이선스

파이어버드 데이터베이스 엔진과 해당 모듈은 오픈 소스 라이선스인 초기 개발자 공개 라이선스(Initial Developer's Public License, IDPL)로 배포된다. 이 라이선스는 모질라 공용 허가서(MPL) 버전 1.1을 변형한 것이다. IDPL은 개발자가 파이어버드를 사용한 제품이나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만든 파생 제품을 공개할 것을 요구하지 않지만, 개발자가 그렇게 하려는 경우 일부 조건이 준수되어야 한다. IDPL은 개발자가 파이어버드를 이용하여 독점적인 비공개 소스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도록 허용한다.[37]

6. 연결 API

(내용 없음)

6. 1. 로우 레벨 Firebird Native API, Services API, 임베디드 SQL

파이어버드 네이티브 API는 파이어버드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미들웨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된다. 이 API는 윈도우 시스템에서는 `fbclient.dll` 파일,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는 `libfbclient.so` 파일에 구현되어 있다.[38]

서비스 API는 사용자 관리, 데이터베이스 백업 및 복원, 통계 수집과 같은 관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특별한 함수들의 모음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관련 서비스들을 접근하고 제어할 수 있다.

임베디드 SQL은 `gpre`라는 전처리기를 사용하여 C/C++COBOL 언어로 파이어버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을 단순화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스 코드 안에 직접 SQL 문장을 포함시킬 수 있다.[39]

7. 수상 경력

(내용 없음)

7. 1. SourceForge 커뮤니티 초이스 어워드


  • 2007년: SourceForge 커뮤니티 초이스 어워드에서 엔터프라이즈 부문 최고 프로젝트상과 최고 사용자 지원상을 수상하였다.[40]
  • 2009년: SourceForge 커뮤니티 초이스 어워드에서 엔터프라이즈 부문 최고 프로젝트상을 수상하였으며, 최고 프로젝트 및 정부 부문 최고 프로젝트 최종 후보에 올랐다.[41]

8. 관리 도구

참조

[1] 웹사이트 Firebird: A powerful, cross platform, SQL database system https://sourceforge.[...] SourceForge Media, LLC 2018-04-25
[2] 웹사이트 Firebird 1.5.5 Release Notes http://firebirdsql.o[...] 2009-09-29
[3] 뉴스 Inprise/Borland Introduces InterBase 6.0 Now Free and Open Source on Linux, Windows, and Solaris https://web.archive.[...] 2000-07-16
[4] 웹사이트 Borland.com: Inprise/Borland Introduces Interbase 6.0 Now Free and Open Source on Linux https://web.archive.[...] Linux Today
[5] 웹사이트 Firebird History http://www.firebirds[...] 2014-03-14
[6] 웹사이트 What's happening to InterBase http://www.ibphoenix[...] Borland User Group
[7] 웹사이트 IBPhoenix Community News Archive http://wwwnfs.ibphoe[...] 2000-03-11
[8] 웹사이트 IBPhoenix Community News Archive http://wwwnfs.ibphoe[...] 2000-04-11
[9] 뉴스 Firebird Relational Database 1.5 Final Out http://developers.sl[...] Slashdot 2004-02-23
[10] 웹사이트 Firebird 1.5.6 Release Notes http://www.firebirds[...] Firebird Project 2009-10-05
[11] 웹사이트 Firebird 2.0 Final Release Launches in Prague http://www.firebirds[...]
[12] 웹사이트 Firebird 2.0.7 Release Notes http://www.firebirds[...] 2012-04-05
[13] 웹사이트 Firebird 2.1 Release Notes http://firebirdsql.o[...] 2014-07-20
[14] 웹사이트 Firebird 2.5.5 Release Notes http://www.firebirds[...] 2015-11-19
[15] 웹사이트 The Firebird Project's Firebird Relational Database {{!}} Linux Journal https://www.linuxjou[...] Linux Journal 2016-07-29
[16] 웹사이트 Firebird Embedded and LibreOffice is the killer combination to scale from a single file application to a client/server approach http://www.firebirdn[...] Firebirdnews.org 2012-02-14
[17] 웹사이트 GSOC 2013: LibreOffice Firebird SQL Connector http://www.ahunt.org[...] 2013-05-28
[18] 웹사이트 Phoenix and Minotaur to be renamed Firebird and Thunderbird http://www.mozillazi[...] 2003-04-14
[19] 간행물 Mozilla browser becomes Firebird https://web.archive.[...] IBPhoenix
[20] 웹사이트 Firebird Database Project Admin Ann Harrison Interviewed http://www.mozillazi[...] 2003-04-21
[21] 웹사이트 mozilla branding https://web.archive.[...] The Mozilla Organization 2003-04-25
[22] 웹사이트 Mozilla's Firebird gets wings clipped http://www.cnet.com/[...] CBS Interactive 2003-05-07
[23] 웹사이트 Christopher Blizzard of mozilla.org speaks on the Firebird naming conflict http://www.mozillazi[...] 2003-05-14
[24] 웹사이트 Mozilla holds 'fire' in naming fight http://www.cnet.com/[...] CBS Interactive 2004-02-09
[25] 웹사이트 Mozilla Firebird Renamed Firefox, Version 0.8 Released http://www.mozillazi[...] 2004-02-09
[26] 웹사이트 Mozilla Firefox - Brand Name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archive.[...] Mozilla Foundation
[27] 웹사이트 Get to know Firebird in 2 minutes http://www.firebirdn[...]
[28] 웹사이트 A not-so-very technical discussion of Multi Version Concurrency Control http://www.firebirds[...]
[29] 웹사이트 Connect to Firebird (FireDAC) http://docwiki.embar[...]
[30] 웹사이트 FDB: The Python driver for Firebird https://pypi.python.[...]
[31] 웹사이트 Multi-generational architecture (MGA) and record versioning https://web.archive.[...]
[32] 웹사이트 Interview with Jim Starkey from InterBase World http://www.ibphoenix[...]
[33] 웹사이트 What is Multi Generational Architecture (MGA)? http://www.firebirdf[...]
[34] 웹사이트 Database Housekeeping And Garbage Collection http://www.firebirds[...]
[35] 웹사이트 What is Multi Generational Architecture (MGA)? http://www.firebirdf[...]
[36] 웹사이트 Interview with Jim Starkey from InterBase World http://www.ibphoenix[...] 2011-07-14
[37] 웹사이트 Firebird: Initial Developer's Public License Version 1.0 http://www.firebirds[...] 2011-07-13
[38] 웹사이트 The Firebird client library http://www.firebirds[...] 2011-07-14
[39] 웹사이트 Application development http://www.firebirds[...] 2011-07-14
[40] 웹사이트 SourceForge.net 2007 Community Choice Awards Winners http://sourceforge.n[...] 2011-07-13
[41] 웹사이트 SourceForge.net: 2009 CCA: Winners http://sourceforge.n[...] 2011-07-13
[42] 문서 https://xtech.nikkei[...]
[43] 뉴스 Inprise/Borland Introduces InterBase 6.0 Now Free and Open Source on Linux, Windows, and Solaris http://www.borland.c[...] 2000-07-16
[44] 웹사이트 Borland.com: Inprise/Borland Introduces Interbase 6.0 Now Free and Open Source on Linux http://www.linuxtoda[...] Linux Today 2009-01-29
[45] 웹사이트 Firebird History http://www.firebirds[...] 2009-01-31
[46] 웹사이트 What's happening to InterBase http://www.prototypi[...] Borland User Group 2009-01-29
[47] 웹사이트 IBPhoenix Community News Archive http://www.ibphoenix[...] 2009-01-29
[48] 웹사이트 IBPhoenix Community News Archive http://www.ibphoenix[...] 2009-01-29
[49] 뉴스 Firebird Relational Database 1.5 Final Out http://developers.sl[...] Slashdot 2004-02-23
[50] 웹사이트 Firebird 1.5.5 Release Notes http://www.firebirds[...] Firebird Project 2009-01-31
[51] 웹사이트 Firebird 2.0 Final Release Launches in Prague http://www.firebirds[...] 2009-02-05
[52] 웹사이트 Firebird 2.0.5 Release Notes http://www.firebirds[...] 2009-02-05
[53] 웹사이트 Firebird 2.1 Release Notes http://www.firebirds[...] 2009-02-07
[54] 웹사이트 Firebird 2.5 Introduces New Audit Features and Improved Scalability http://www.firebirds[...] 2010-10-06
[55] 웹사이트 Firebird 2.5 Release Notes http://www.firebirds[...] 2009-02-09
[56] 웹사이트 Firebird 3.0 is released http://www.firebirds[...] 2016-05-07
[57] 웹사이트 Firebird 3.0 Release Notes http://www.firebirds[...] 2016-05-07
[58] 웹사이트 Firebird 4.0 Release Notes https://firebirdsql.[...] 2021-12-16
[59] 웹사이트 Firebird 5.0 Release Notes https://firebirdsql.[...] 2040-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